앞 시간에 가계부에 필요한 DB 테이블 중에서 '항목' 테이블의 기초 Data를 만들어 보았었다.
1) 입력화면 3가지에 대한 화면을 설계한다.
2) 3가지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DB구조를 설계한다.
3) DB테이블 구조에 맞게 기초 Data를 생성한다.
4) 기초 Data를 Access DB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5) 입력화면을 하나씩 구현한다.
이번 시간에는 3)번 항목에서 손익분석 시 분류 기준이 되는 '유형' 테이블의 기초 Data를 직접 만들어 보기로 한다.
CODE | 거래구분 | 유형명 | 설명 | 사용유무 |
1 | 수입 | A남편소득 | 급여소득/연말정산/특별상여 | 1 |
2 | 수입 | B아내소득 | 급여소득/직급수당/현금소득/기타수당 | 1 |
3 | 수입 | C사업소득 | 인터넷사업소득/온라인수입 | 1 |
4 | 수입 | D투자수익 | 임대수익/주식배당/기타투자 | 1 |
5 | 수입 | E기타수입 | 이자수입/기타수입/보험수익 | 1 |
6 | 지출 | A월고정비 | 매월 자동이체하는 모든 항목 | 1 |
7 | 지출 | B월간소비 | 매월 소비하는 모든 항목(년간소비 항목제외) | 1 |
8 | 지출 | C년간소비 | 휴가비/명절제사비/특별용돈/선물/자동차보험/의류/화장품 /미용비/의료비/처방약/가전제품 |
1 |
9 | 지출 | D보험지출 | 종신보험/실비보험/지역의료보험/추가국민연금 | 1 |
10 | 지출 | E대출이자 | 대출이자/상환수수료 | 1 |
이전 시간에 '유형'을 분류하는 이유는 손익현황을 분석하기 위함이라고 하였다.
위에 나열된 유형분류는 본인이 수년 전에 가계부 작성과 관련된 재무컨설팅을 받은 적이 있는데 이때 해당 설계사로 부터 자문을 받아서 만든 것이다.
수입의 경우 크게 근로소득, 사업소득, 투자소득 등으로 나누어 놓아야 각 분류별로 얼마만큼의 수익이 발생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쉽다.
또한 근로소득의 경우도 수입 대상자별로 구분하는것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남편 또는 아내의 직장 변동이 생겼을 때 가계의 수입에 어떠한 영향이 생기는지 분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수입 유형명은 총 5가지로 분류하였는데 각 유형명 앞쪽에 알파벳 문자를 붙여놓았다. 그 이유는 내가 손익현황을 조회할 때 정렬 순서를 정하기 위함이다.
지출의 경우도 수입과 동일하게 5가지로 분류를 하였다.
지출의 유형 분류는 수입보다 좀더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월고정비 : 매월 고정 지출에 해당된다.
나의 의지와 관계없이 매월 무조건 지출되는 금액이다. 다시 말해서 아낄 수 없는 금액이다.
월고정비는 한 번 정리해 놓으면 매월 알아서 적용되는 개념임으로 년간계획을 만들때 최소화시켜 놓을 필요가 있는 분류이다.
또한 월고정비는 가능하면 1개의 계정으로 몰아서 빠져나가게 하는것이 좋다.
- 월간소비 : 매월 지출되는 금액이나 고정비와는 다르게 내 의지로 절약하거나 줄이려고 노력하면 감소시킬 수 있는 금액이다. 월간 소비패턴을 가늠하기 좋은 분류이다.
- 년간소비연간소비 : 자동차 보험과 같이 연중에 한번 지출되는 금액으로 월간소비와 동일하게 분류하면 해당월 지출이 과도하게 높아져 보여서 월간 소비 패턴을 알아보기 힘들게 한다. 그래서 연간소비로 분류해 두어서 1년 기준으로 감소 계획을 세워야 할 지출항목이다.
- 보험지출 : 보험료는 월고정비와 분리하여 작성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월고정비는 맞으나 총 수입 대비 과도한 보험료 지출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필요시 불필요한 보험료를 줄여나가는데 도움이 된다.
- 대출이자 : 대출이자도 월고정비와 유사하나 보험료와 마찬가지로 총 수입대비 대출이자의 비율이 너무 높을 경우 자산증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시로 관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유형 분류 기준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토대로 나름 고민을 통해서 분류하였으니 위의 유형분류 기본 Data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엑셀파일은 '기초Data(유형).xlsx'로 저장해 둔다.
아래에 해당 엑셀파일을 업로드해 두었으니 필요 시 다운로드하여 참고하면 된다.
이번 시간까지 DB테이블 별 기초 Data를 엑셀 기준으로 만들어 보았으니, 다음 시간에는 AccessDB를 통해서 프로그램에서 사용가능한 DataBase 형태로 만들어 보기로 한다.
'VB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부 만들기#10] Excel 가져오기로 Access 테이블 만들기~ (0) | 2023.08.14 |
---|---|
[가계부 만들기#9] MS Access에서 DB 테이블 만들기~ (0) | 2023.07.18 |
[가계부 만들기-#7] '항목' 기초 Data를 만들어보자... (0) | 2023.07.09 |
[가계부 만들기-#6] '계정' 기초 Data를 만들어보자... (0) | 2023.07.08 |
[가계부 만들기-#5] '거래내역' 기초 Data를 만들어보자... (0) | 2023.07.08 |